java : awt swing swt
python : tinker(완전 파이썬꺼) QT(C++건데 많이씀 pyQT라고 함)
자바는 생성 / 비지블 / 사이즈만되면 화면이 나왔는데
파이썬은 6~7줄 됨
아나콘다에 QT가 포함되어잇고, pyQT라고 한다.
파이큐티는 디자이너라는게잇음
아나콘다 프롬프트
위지위그(WYSIWYG: What You See Is What You Get, "보는 대로 얻는다")는 문서 편집 과정에서 화면에 포맷된 낱말, 문장이 출력물과 동일하게 나오는 방식을 말한다. 이는 편집 명령어를 입력하여 글꼴이나 문장 형태를 바꾸는 방식과 구별된다.
얘를 저장을 하면 .ui임
이걸 파이선에서 불러와서 프로그래밍하는거임
디자이너일뿐 프로그램을 만들어주진않으므로
서블렛에 작업 다하니까 비지니스로직(컨트롤러)이라고 햇는데, 요즘은 자바스크립트가 컨트롤러역할을 한다고한다.
*UI / UX
컴퓨터에서는 마우스키보드가 인터페이스
두 개 사이를 이어주는게 인터페이스
예전에는 유저인터페이스가 강조됨
User Experience
: 스위;;치를 문옆에 두는것처럼 사용자경험에 의해서 유저인터페이스가 결정되는거임
import sys
from PyQt5.QtWidgets import *
from PyQt5 import uic
Ui_MainWindow, QtBaseClass = uic.loadUiType("my_QT01.ui")
class MyWindow(QMainWindow):
def __init__(self):
super(MyWindow, self).__init__()
self.ui = Ui_MainWindow()
self.ui.setupUi(self)
self.ui.pb.clicked.connect(self.btn_clicked)
def btn_clicked(self):
print("good")
if __name__ == "__main__":
app = QApplication(sys.argv)
window = MyWindow()
window.show()
app.exec_()
cpu > gpu > npu ( 뉴럴.. 인공지능)
인공지능이 사람과 배경을 구분하기 시작함
인공지능이 주식 종목도 추천함
인공지능이 대신 운전함
npu에 대한 API를 사용할줄알아야 개발자임
이게 파이썬으로 될수도잇다
ASML : 반도체는 나노로 가면 지구상의 공기는 회절이잇어서 우주로 가야한다.
qt4
le1 pb(increase)
qt5
le1 lbl(에서) le2 btn(까지합은) le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