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는 2진수 사람은 10진수 유니코드는 16진수이므로 세가지를 오고갈수있어야한다.
1. 10진수 > 2진수
10을 2진수로
:1010(2)
내가원하는 진수로 안나눠질때까지 나눠주기
65를 16진수로
41(16)
2636을 16진수로
10412(16)대신
a4c(16)
10 a 11b...이게 약속임
tip : 2의 0승부터 2의 n승까지의 합 : 2의 n+1승 -1
package a_variable;
public class Variable_02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1. 변수의 타입
-기본형 타입 (primitive type) 8가지
: 계산을 위한 실제 '값'을 저장한다.
: boolean, char, byte, short, int, long, float, double
-참조형 타입 (reference type) 8가지 기본형을 제외한 자료형.
: 값'들'이 들어있는 주소값을 저장한다.
2. 기본형의 종류
-논리형
:boolean
:true또는 false의 값중 하나만을 저장한다. (트루폴스중 딱 1bit)
-문자형
:char (문자 딱 하나만 저장)
-정수형
:byte(가장작은단위) short int(대표자료형) long
-실수형
:float double(대표자료형)
3. 기본형 변수의 크기
-기본적으로 1byte = 8bit 이게 데이터 하나. 8칸의 한칸한칸이 다 0또는 1로 이루어져있음
-1byte : boolean, byte
-2byte : char, short
-4byte : int, float
-8byte : long, double
4. boolean - 기본값은 False
- boolean형은 true 또는 False 하나의 값을 저장할 수 있다.
- 데이터를 다루는 가장 작은 단위가 byte이므로 1byte의 크기를 가진다.
1) 변수 power를 선언하고 true의 값으로 초기화 하여라.
변수를 선언 및 초기화하려면 변수타입, 변수명, 값 세가지가 필요
그걸 인쇄하자
boolean power = true;
System.out.println(power);
5. 문자형 - ' ' < 빈공간이 기본값
-문자형에는 char하나뿐이다.
-char는 한글자단위의 문자를 나타내는 타입이다.
-문자가 0개도 안됨 2개이상도 안됨 무조건 한개만! (빈공간은 빈공간이 있는것)
-양쪽에 싱글 쿼테이션 꼭 있어야함
1) 변수 alpha를 선언하고 'A'값으로 초기화 하여라.
*/
char alpha = 'A';
System.out.println(alpha);
char alpha2 = '\u0041'; //u는 유니코드. 유니코드는 16진수
System.out.println(alpha2);
char alpha3 = 65;
System.out.println(alpha3);
//얘들이 다 같은거 >> 유니코드 표 보면 알수있음
//그 문자가 갖고있는 십진수값도 알수있어야한다
/*6. 정수형 - 기본값 0
정수형에는 byte, short, int, long 4가지 종류
이 중 대표자료형은 int
4가지 형태중에 타입을 선택시 데이터의 크기에 따라 선택한다.
1,2,4,8 byte..
왜 크기별로? 디스켓에 1024byte인데 변수를 long으로 넣으면 몇개못넣음
최소화해서 byte로 가지고다녀야했으므로
현재는 의미가 없음
but 인터넷에서 파일주고받을때 byte가 long보다 8배빠르다
byte는 200은 저장못함.. 각각 담을수있는 범위가 다르다.
한자리를 부호한테 양보 0 양수 1 음수
즉 1byte에 자리느 7칸 즉 만들수잇는 숫자는 2의 7승 즉 127개
앞이 0 ( 양수 ) 면 0부터시작 0~127
음수1이면 -128
즉 byte의 범위는 -128~127
즉 -2의 7승부터 2의 7승-1까지가 범위임
short 2byte 16bit > 15칸
범위는 -2의 15승부터 2의 15승 -1
int 4byte 32bit 31칸
-2의 31승부터 2의 31승-1
char 2byte 16bit 문자형 16칸(문자는 음수없)
음수가없으니까 0~2의 16승-1
float과 double은 e(2.xxx...)가 필요
float과 double은 long보다 훨크다라고만 기억
*/
//변수 b에 120의 값을 저장해주세요
byte b = 120;
//번수 s에 30000의 값을 저장해주세요
short s = 30000;
//변수 i 에 10억의 값을 저장해주세요
int i = 1000000000;
//변수 l에 30억의 값을 저장해주세요
long l = 3000000000L; // 숫자만써버리면 대표형이 int이기때문에 int로알아버림
//뒤에 long이라는뜻으로 L을 붙여줘야함
System.out.println(b);
System.out.println(s);
System.out.println(i);
System.out.println(l);
/*
7. 실수형 - 0.0이 기본값
-float double 두가지를 가지고 있다.
-정수형은 크기가 중요 근데 실수형은 크기가 엄청커서 크기가중요하지X
-float는 4byte 는 소숫점아래 7자리까지만 double은 13자리까지 볼수있다.
-자료형을 선택할 때 값의 범위 뿐만 아니라 정밀도도 중요한 요소가 된다.
*/
//1. 변수 f에 3.142342534534를 저장하여라
float f = 3.142342534534F; //F붙이는거 까먹지말기
//2. double형 변수 d에 3.142342534534를 저장하여라
double d = 3.142342534534;
System.out.println(f);
System.out.println(d);
}
}
'학원수업_basicJAVA > 1. 변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007 Java Variable2 (0) | 2020.10.07 |
---|---|
201006 JAVA Variable01 (0) | 2020.10.06 |